- 추사의 작품세계 -

10월 10일은 추사 서거일.



추사 김정희 Kim JungHee
주림석실 칠언시 대련
종이에 먹 | 124×29㎝

     
秋史
金正喜
추사체가 예술의 경지에 이를 수 있게 된 것은 천재성의 발로가
아니라 판서를 지낸 아버지 김노경과 그 선조들, 그리고 청나라
고증학이 합해져서 가능해진 것이다.

추사와 동시대에 활동한 박규수는 추사체의 형성과 변천과정에 대해
"완옹(阮翁)의 글씨는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그 서법이 여러차례
바뀌었다. 어렸을 적에는 오직 동기창(董其昌)에 뜻을 두었고,
중세(스물넷에 연경을 다녀온 후)에 옹방강을 좇아 노닐면서 열심히
그의 글씨를 본받았다.
그래서 이무렵 추사의 글씨는 너무 기름지고 획이 두껍고 골기가
적었다는 흠이 있었다.
만년에 제주도 귀양살이로 바다를 건너갔다 돌아온
다음부터는 남에게 구속받고 본뜨는 경향이 다시는 없게 되고
여러 대가의 장점을 모아서 스스로 일법을 이루게 되니
신(神)이 오는 듯 기(氣)가 오는 듯 바다의 조수가 밀려오는
듯하였다"고 증언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추사 김정희에 대해
"철종 7년, 10월10일 갑오. 전(前) 참판 김정희가 죽었다.
김정희는 이조판서 김노경의 아들로 총명하고 기억력이 투철하여
여러 가지 책을 널리 읽었으며, 금석문과 그림과 역사에 깊이
통달했고, 초서 해서 전서 예서에서 참다운 경지를 신기하게
깨달았다. 젊어서부터 영특한 이름을 드날렸으나 중도에 가화를
만나 남쪽으로 귀양가고 북쪽으로 유배가며 온갖 풍상을 다
겪으며, 혹은 세상의 쓰임을 당하고 혹은 세상의 버림을 받으며
나아가기도 하고 또는 물러나기도 했으니 그를 송나라의 소동파에
비교하기도 했다"고 적혀있다.
제목:판전 현판
사진크기:800*533
출처:© encyber.com
설명:서울 삼성동. 불교 경전을 보관하기 위한 불전이다. 판전의 현판은 추사 김정희의 글씨이다.
관련항목:봉은사, 김정희
     
'선게비불'은 획의 굵기에 다양한 변화가 있어 울림이 강하고
추사체의 파격적인 아름다움이 잘 드러난다.
'판전'은 추사가 세상을 떠나기 3일 전에 쓴 대자 현판으로
고졸한 가운데 무심의 경지를 보여주는 명작이다.
     
'선게비불(禪偈非佛, 사진 위편`
    
말년인 과천시절 완당이 남긴 '대팽두부(大烹豆腐)'
결국 완당이 살아온 인생의 종착점이 어디였는가를 말해주는 명작
중의 명작이다.

최고 가는 좋은 반찬이란 두부나 오이와 생강과 나물
(大烹豆腐瓜董菜)이고최고 가는 훌륭한 모임이란 부부와 아들딸과
손자(高會夫妻兒女孫)다

글 내용과 글씨 모두가 완당의 예술이 평범성에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잘 쓰겠다는 의지를 갖지도 않은 상태에서
절로 드러난 불계공졸의 경지이다.

     

     


예산 화암사 '무량수각' 현판.
획이 가늘면서 힘과 멋이 함께 들어있다.
제주도 유배시절 글씨의 새로운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대둔사 '무량수각' 현판. 제주도로 유배가면서 써준 것이다.
획이 기름지고 윤기가 난다.
     

'소창다명 사아구좌(小窓多明 使我久坐)'
우리말로 옮기면 '작은 창으로 밝은 빛이 많이 들어오니,
나로 하여금 오랫동안 앉아 있게 하네'라는 뜻이다.
글자에 유머와 파격이 있어추사체의 '괴'가 곳곳에 드러나는데,
특히 밝은 명(明)자의 획을 삐뚜루 쓴 것이나,
앉을 좌(坐)를 흙 토(土)위에 네모 두 개를 그려
마치 땅에 앉은 궁둥이처럼 쓴 웃음이 절로 나오게 하는 글이다.
그것도 한쪽 궁둥이를 슬쩍 들고 비스듬히 앉은 듯 네모의 양감이 다르다.
     

그의 대표적인 글씨 '잔서완석루(殘書頑石樓)'
'다 떨어진 책과 무뚝뚝한 돌이 있는 서재'라는 뜻의
제주도 유배후 강상(한강 용산변의 강마을)시절의 대표작
글자의 윗선을 맞추고 내리긋는 획은 마치 치맛자락이 휘날리는
듯 변화를 주었다.
이렇게 자유분방한 글씨는 추사 김정희밖에 없다.
빨래줄에 빨래 걸린 듯하지만 필획이 맞으니 자유분방하다고
표현한다."
     

'단연죽로시옥(端硏竹爐詩屋)'은 유명한 단계벼루, 차 끓이는 대나무 화로,
그리고 시를 지을 수 있는 작은 집을 뜻하는 것으로
그것만으로 자족하겠다는 선비의 마음을 말한다

출처 : Tong - 한복님의 한복과 역사그리고문화통

.
이 현판 글씨는 글자의 구성미가 멋스럽고 획의 흐름에 리듬이 있다

★...기양제첩(寄兩弟帖)이라는 제목의 간찰집으로 1827-28년에 추사
김정희가 두 동생에게 보낸 편지 13통을 묶은것이다. 이 간찰집은
최근 일본에서 한국 과천시로 기증됐다


★...추사 김정희가 아낀 제자 중 한 명인 이상적이 송대의 문인
신기질의 사(詞) 축영대근(祝英臺近)을 작품 형식으로 쓴 것. 이
간찰집은 최근 일본에서 한국 과천시로 기증됐다

추사 묵난
春濃露重 地暖草生 山深日長 人靜香透

춘농로중 지난초생 산심일장 인정향투




봄 깊고 이슬 많아 땅 풀려 풀 돋는다
산깊고 해 긴데 사람자취 고요하고 향기만 가득하구나.


추사 묵난


昨日天女下雲峰

帶得花枝灑碧空

世上凡根與凡葉

豈能安頓在基中

추사(秋史)의 금강 반야경(金剛 般若經) 친필 34.5 X 20.5cm

양무재의 아들 태자, 양소명이 금강경을 32분으로 나누었는데 그 중 15분인 지경
공덕분(持經功德分), 즉 경을 지니는 공덕에 대해서 하신 말씀. 추사의 친필로
운여(雲如), 김광업(金廣業)의 배관이 보인다.

'신비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메다의 숨겨진 모습  (0) 2006.10.27
126세 vs 132세  (0) 2006.10.13
마이산의 신비  (0) 2006.10.06
부석사 선비화/ 표충비  (1) 2006.10.06
1억4천만년전에 만들어진 쇠망치  (0) 2006.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