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궤이저우 성(貴州省;중국은 우리의 道단위에 해당하는 22개의 省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귀주성이다)에서 발견된 ‘중국공산당망(中國共産黨亡)’글자가 새겨진 암석
공산당이 멸망하는 것은 이미 정해진 일이다.
'중국공산당망(中國共産黨亡)' 장자석(藏字石; 글자가 감추어진 돌이라는 뜻이다)
‘中共 지도자라면 누구나 구경하는 돌?’
공산당 정권은 정권유지를 위해 제일 끝의 亡자를 없는 것처럼 말하고 있다. 말하자면 이돌에 "중국공산당"이 새겨져 있다고 선전하고 있다.
[SOH] 중국 구이저우(貴州)성에서 발견된 ‘장자석(藏字石-글자가 새겨진 암석)’을 구경하기 위해 중국공산당 지도자들이 몰려들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이 기암괴석에는 신기하게도 ‘중국공산당망(中國共産黨亡)’이라는 6글자가 새겨져 있어 그 배경에 궁금증을 더하고 있습니다.그 중 "망(亡)"자가 특별히 컸다고 한다
2002년 6월, 구이저우성 핑탕(平塘)현 장부허구(掌布河谷)에서 ‘중국공산당망’으로 보이는 글자가 새겨진 암석이 발견됐습니다. 이 돌을 신기하게 생각한 핑탕현 정부는 구이저우성 지질 학자를 불러 2003년 8월 중순부터 이 돌을 고찰하게 했습니다. 그 결과 이 장자석은 5백년 전 계곡 절벽이 무너져 내리면서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반대편 면도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3개월 후, 탕핑현 위원회와 현 정부는 더욱 자세한 연구를 위해 중앙정부에 심의를 요청했습니다. 이후 전국 정협위원, 중국 과학원 지질학부 부주석, 중국 과학원 원사, 유명한 지질 학자 류바오쥔(劉寶君), 중국 지질대학 교수, 국가지질 평가위원회, 유명 고생물학자 리펑린(李鳳麟) 등 15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2003년 12월 5일부터 8일까지 현지에서 이 ‘장자석’을 연구조사 했습니다.
▲ ‘장자석’을 소개하는 중국 관광티켓
조사단은 이 돌이 약 2억7천만 년 전, 패름기에 형성된 짙은 회색 암석(深灰色岩)으로, 새겨진 글자에서 인위적인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며 매우 큰 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당시 조사단에는 ‘인민일보’, ‘중국중앙TV(CCTV)’, ‘광명일보’, ‘과학기술일보’, ‘중국국제TV방송’ 등 20여 개 언론사 기자가 동행했으며, ‘인민망’, ‘시나망’, ‘둥팡망’, ‘소후망’, ‘야후’, ‘신화망’ 등 웹사이트를 포함한 100여 개의 언론사에서 조사결과를 보도했습니다. 이후 핑탄현 장부허구 관광지는 이 ‘장자석’을 아예 관광티켓에 새겨놓을 정도로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언론사나 단체도 여섯번 째 ‘망(亡)’자에 대해서 제기하지 못했고 오히려 하늘이 중공 정권의 합법성을 증명하고 있다며 ‘중국공산당’이라는 5글자만 언급하는 등 이 ‘장자석’은 정치적 이용도구로 전락했습니다.
2005년 11월 9일, 헤이룽장(黑龍江)성 하얼빈에서 발간되는 ‘하얼빈일보’도 ‘천하제일기석(奇石)’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 장자석을 소개했지만 역시 ‘중국공산당’이라는 5개의 글자만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해외 중국평론가들은 “공산당의 폭정으로 중국의 산과 강물이 신음하고, 인심(人心)이 마(魔)로 변했으며 심지어 2억7천만년전에 형성된 큰 돌까지 ‘중국공산당망’을 외치고 있다”며 당국의 중공 찬양일색 보도를 비난했습니다.
후진타오와 원자바오를 포함한 중공중앙 정치위원회 16기 상무위원 9명은 모두 이 기암괴석을 관람했으나 돌에 새겨진 내용에 대해서는 서로 언급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당시 국가부주석을 지냈던 쩡칭훙(曾慶紅)은 이 돌을 보기 위해 두번이나 핑탕현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최창영이었습니다.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or.kr.
▲ 2005년 11월 9일 ‘하얼빈일보’가 보도한 장자석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조선 세포에 의해 무력화되고 있는 한국!!! (0) | 2016.11.22 |
---|---|
유대인이라면 한국의 위기 어떻게 극복할까 (2) | 2016.11.18 |
사람은 어디에서 (0) | 2016.09.20 |
그 지루하던 여름은 가고 (0) | 2016.08.31 |
꽃잎이 떨어지면 (0) | 2016.05.19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