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고대 大피라미드 건축에 사용한 콘크리트 기술 | |
이집트 기자지역의 대(大) 피라미드는 아직까지도 수수께끼이다. 옛날 사람들이 그렇게 많은 거석(巨石)들을 어떻게 그곳으로 운반해 왔고 또 그것들을 어떻게 가공해서 규칙적으로 만들 수 있었으며 이런 몇십 톤에 달하는 돌들을 어떻게 이용해 지금 인류가 보기에도 휘황찬란한 이런 건축물을 만들 수 있었을까? 인터넷 과학잡지 ‘매일과학(每日科學)’ 보도를 보면 최근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드렉셀 대학(Drexel University) 재료공학과 미셸 바소움(Michel Barsoum) 교수는 이집트 기자의 대형 피라미드를 건축하는 과정에서 석회콘크리트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바소움 교수의 논문은 미 세라믹학회지에 실렸다. 바소움 교수는 대 피라미드 건축은 고대 이집트가 단지 건축기술뿐만 아니라 화학과 재료공학에도 조예가 매우 높음을 드러낸다고 밝혔다. 그동안 과학계에서는 고대 이집트 사람들이 동(銅)으로 만든 도구를 사용해 부근에서 채굴한 석회암을 피라미드 건설 현장까지 운반한 다음, 경사면을 이용해 끌어올린 후 조립한 것이라고 여겨왔다. 그러나 바소움 교수가 지난 3년 동안 1000개 이상의 돌을 현미경과 화학성분을 통해 연구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구조는 다듬은 돌로 이루어져 있지만 중요한 부위는 오히려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것을 발견했다. 이런 중요 부위에는 내부와 외부 양측의 석회암을 포함, 피라미드 상부에도 석회암 구조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고대인들의 환경친화적인 콘크리트 바소움의 연구는 오랫동안 과학자들을 곤혹스럽게 해왔던 문제들에 대해 일부 해답을 준다. 가령 “피라미드의 모양은 어떻게 그리도 정확한가?”, “경사판을 이용해서 피라미드를 만들었다면 상부 피라미드를 만들 때 경사판이 얼마나 크고 길어야 하는가?” 하는 등의 문제를 밝힐 수 있는 단서다. 만약 당시 사람들이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법을 사용했다면 이런 긴 경사판으로 돌을 운반할 필요가 전혀 없다. 단지 현장에서 틀을 만들어 콘크리트 블록을 만들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면 건축 각도의 정확성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바소움 교수의 연구도 피라미드에 관련된 모든 의문을 다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령 파라오의 묘에 수평으로 연결된 70톤에 달하는 화강암을 어떻게 다듬었을까? 청동으로 다듬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 이 무거운 돌을 어떻게 들어 올렸을까? 비록 피라미드 건축은 여전히 해석할 수 없는 수수께끼가 있지만 바소움 교수의 연구는 실용적인 용도가 있다. 왜냐하면 피라미드 건축자가 채용한 콘크리트는 현재 사용하는 포틀랜드 시멘트[편집주: 1824년 영국의 발명가 J. 아스프딘이 발명한 시멘트로, 석회석과 점토의 혼합물을 소성(燒成) 제분(製粉)하여 만든다.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보급된 제조법의 시멘트] 제조법보다 오염이 훨씬 적기 때문이다. 포틀랜드 시멘트는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매우 많은 원인이 이 포틀랜드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야기된다. 이외에 피라미드에서 사용한 콘크리트 제작법이 수천 년 동안 견고한 것에 비하면 포틀랜드 시멘트는 겨우 150년 정도밖에 사용할 수 없다. 만약 피라미드에서 사용한 콘크리트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면 콘크리트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90%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수명도 크게 늘릴 수 있다. 더욱 현실적인 의미로는 바로 피라미드 건축에 사용한 콘크리트의 재료는 우리 도처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
'신비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의 오로라 (0) | 2007.06.29 |
---|---|
우담바라, 한국이어 중국에서도 (0) | 2007.06.29 |
식물들도 자신의 친척을 알아본다 (0) | 2007.06.29 |
자비가 곧 부처다 (0) | 2007.06.28 |
초능력 ‘블루 아동’ (0) | 2007.06.26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