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태어날 때
동물들 중 태어나자마자 걷는 망아지나 송아지가 있는가 하면,
태어나서 며칠을 눈도 뜨지 못하는 강아지나 새 새끼가 있고,
수정이 되어도 알을 낳고 안 되어도 알을 낳는 닭이 있는가 하면
또 애벌레로 태어나 일정하게 크면 고치를 짓고
허물을 벗고는 나비로 다시 태어나 사는 것이 있다.
그래서 자연은 참 오묘한 것이다.
어미가 시끄럽게 소리 질러 잉태하여 낳은 자식은
자랄 때도 조용히 자라지 못하고 모든 일에 분답스럽고
반면에 조용스레 만든 자식은
크면서도 조용히 별 말없이 할 일을 하는 것 같다.
옛날에는 나쁜 관습이 있어 본처이외의 자식은 서자라 하여
사람취급을 하지 않을 때도 있었다.
어린자식이 아비를 아비라 부르지 못하고,
아비, 할아비 제사에 참여하여 절도 할 수 없었으니
어찌 자식, 손자라 할 수 있을까?
즐기다 자식이 생겼다하여 사람 취급을 하지 않았던 것이다.
어린 자식이 그 아비를 아비로 부르지 못한다면 그 마음 오죽할까?
본처라면 좋아도 조용히 그냥 입을 막고 참을 것인데
첩이나 기생(소실이나 매춘부나)은 즐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소리만 지르지 않으면 즐기지 않는 것인가?
옛날은 명분을 그리도 중시 했다한다.
또 부부란 살면서 위로는 침이 섞이고 아래로는 애액이 섞이니
점점 성격이나 생각이 닮아가고 심지어 얼굴까지도 닮는 듯하다.
얼굴이 변하지 않는 것 같지만 낳았을 때 얼굴이 있고
한, 두 살 때 다르고, 자라가면서 열 살 때 달라진다.
스무 살 때 다르고 결혼해서 또 얼굴이 달라진다.
침이나 애액이 섞이는게 유전자 조작해 꽃잎 색깔 바꾸는 것과
뭐가 다를까?
먹는 음식물로만 얼굴이 변한다면 주름살만 늘어 갈 테지만
다른 액체 성분이 몸 안에 들어가니 그것도 계속해서 들어가니
그에 따라 달라 변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식물에 유안, 요소, 칼리비료 주어
잎과 줄기와 꽃을 더 싱싱하게 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는 것이다.
뭐 과학하는 사람들이야
이 방면에 연구한 적도, 관심을 가진 적도 없으면서도 말할 것이다.
"뭐 그럴 리 있을라구?"할 것이다.
물고기를 많이 먹으면 입에서 물고기 냄새가 나고
물고기가 가진 성질을 닮아가고,
짐승고기를 먹으면 그 짐승의 성질이 은연중 나오게 된다.
그건 식물성만 먹으면
식물의 기운을 닮아 힘이 별로 없는 데서도 알 수 있다.
그래서 힘이 강한 동물성 고기를 먹는 것이다.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中외교관 “중공 외교관은 사람 할 짓 못돼” (0) | 2007.07.03 |
---|---|
엄마를 미치게 하는 아가들~~ㅋㅋ (0) | 2007.07.03 |
동물이 먹는 먹이에 대하여 (0) | 2007.07.01 |
좋은 계절은...나는야 (0) | 2007.07.01 |
말은 듣는 사람에 상처를 입힐수 있다 (0) | 2007.07.01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