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통의학과 관련된 고서는 매우 많으며 질병을 해결하고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황제내경’, ‘비급천금요방’ 등의 서적뿐만 아니라 또 수련(修煉)이나 연단(煉丹)을 논술한 ‘포박자(抱朴子)’ 등의 전적(典籍)은 모두 ‘훌륭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上工治未病)’는 개념을 주장했다. 거의 모든 서적에 모두 이와 유사한 개념이 있다. 즉, 질병을 예방하자면 병이 생기지 않기를 바라거나 혹은 발생하기 전이나 싹트기 전 무형일 때 없애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할 수 있다면 어찌 절묘한 수법을 기다리겠는가? 그렇다면 이것은 그저 이론일 뿐일까? 아니면 실제적일까?

수도인과 한의사

중국 고대에 수도인(修道人)과 중의사(中醫師)들의 중요한 참고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에는 좋은 의사는 모두 수도하는 사람이라고 언급했다. 수도하는 사람은 음양(陰陽)을 따르고 음양의 법칙에 위배되는 일을 하지 않는데 이는 마치 나라를 잘 다스리는 명군(明君)이 하늘의 이치를 거스르지 않는 것과 같다. 그 때문에 좋은 의사는 마치 나라를 잘 다스리는 훌륭한 군주가 난(亂)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그 근원을 다스리는 것처럼 병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치료한다. 소문 사기조신대론(四氣調神大論)에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성인(聖人)은 도(道)를 행하지만 어리석은 자는 거스른다. 음양(陰陽)을 따르면 살고 거스르면 죽는다. 따르면 다스려지고 거스르면 어지러워진다. 순종하지 않는 것을 역(逆)이라 한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은 이미 병든 것을 치료하지 않고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하며 이미 어지러워진 것을 다스리지 않고 어지러워지기 전에 다스린다는 것은 바로 이를 말한다. 무릇 병이 이미 생긴 후에 약을 쓰거나 나라가 어지러워진 후에 다스리는 것은 목이 마른 후에 우물을 파고 전쟁이 난 다음에 무기를 만드는 것과 같으니 또한 늦지 않겠는가?”


한의학을 포함한 중국 고대의 과학은 음양오행(陰陽五行) 학설을 기초로 하며 물질과 정신이 모두 음양오행과 관련된다고 여긴다. 그래서 중국 고대의 과학을 이해하거나 한의학을 공부하기 위한 첫걸음은 바로 음양오행이다.


한편 당(唐)나라 때의 명의 손사막(孫思邈)은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대의습업(大醫習業)’ 편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모름지기 훌륭한 의사(大醫)가 되고자 하면 반드시 ‘소문(素問)’ 등을 배워 기억하고 장중경 왕숙화 등의 여러 의약서(醫藥書)도 모두 독파해 깨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음양의 명운성쇠(命運盛衰), 여러 가지 관상(觀相)을 비롯해 거북점의 다섯 가지 징후, 주역, 육임(六壬)도 동시에 정독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 비로소 훌륭한 의사가 될 수 있다. 만일 이렇게 하지 못하는 사람은 눈 없이 밤길을 걷는 것과 같아서 자칫 잘못하면 넘어지거나 목숨을 잃는다. 그 후 마땅히 이 책을 숙독해 사색하고 깊이 연구해야만 비로소 의도(醫道)를 논할 수 있다.”


또 같은 책의 ‘대의정성(大醫精誠)’ 편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러므로 의학이나 복서(卜筮)는 정통하기가 어렵다. 신기한 능력을 지닌 의사가 전수해주지 않는다면 어찌 그 심오한 이치를 알겠는가?…중략…. 그러므로 의학을 배우는 사람은 반드시 의학의 도(道)에 대해 널리 보고 깊이 연구하며 한시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하며 길에서 주워들은 것을 가지고 의학의 도를 알았다고 말하지 말아야 한다.”


“무릇 훌륭한 의사가 환자를 진료할 때는 마음을 평안히 하고 뜻을 가다듬어야 하며, 욕망이나 이익을 좇아서는 안 된다. 먼저 크게 자비롭고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이 우러나와 고통받는 생명을 널리 구제하겠다는 서원(誓願)이 있어야 한다.


병이 있어 찾아와 진료를 청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의 빈부(貧富)나 귀천(貴賤), 나이가 많고 적거나 예쁘거나 못생긴 것을 구별하지 말아야 한다. 자신과 친한지 원한이 있는지 따지지 말며, 중국 사람인지 외국 사람인지 차별하지 말며 똑똑한지 바보인지 구별하지 말아야 한다. 모두 동등한 사람으로, 마치 자기 가족처럼 생각해야 한다.


또한 환자를 진료할 때 앞뒤를 살피며 자신에게 이로울지 해가 될지 고려하지 말아야 하며, 몸을 사리지 말아야 한다. 환자의 고통과 괴로움을 보면, 자신의 아픔으로 여기고 마음속 깊이 슬퍼하고 애처로워해야 한다. 험한 곳을 피하지 않고, 밤낮을 가리지 않으며 춥거나 덥거나 가리지 말아야 하며, 배고픔이나 목마름, 피로도 가리지 말며 한결같은 마음으로 나아가 환자를 치료하되, 성과를 내어 공적을 남기려는 마음이 있으면 안 된다.
이렇게 해야만 비로소 세상 사람들을 위한 훌륭한 의사라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곧 큰 도적이 되는 것이다.”